[파이썬 연산자] 사칙 연산자, 숫자 연산자, 문자열 연산자 (Python)
파이썬 연산자
파이썬에서 연산자를 사용하면 수학의 연산자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수학과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나누기 연산 같은 경우 파이썬에서는 몫만 남기는 연산자나 나머지만 남기는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연산자는 숫자 이외에도 문자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이 두 연산자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두 경우를 비교하여 정리해 본다.
- 순서 -
1. 문자열 연산자 (+, *)
2. 숫자 연산자 (+, -, *, /, //, %, **)
1. 문자열 연산자
종류 | 설명 |
+ | 문자열 연결 |
* | 문자열 반복 |
문자열에는 이 두개의 연산자만을 사용할 수 있다.
문자열 연결 ( + )
'문자열 + 문자열' 형태로 사용한다. 문자열을 연결하는 데 사용한다. 다시 말해 두 개의 문자열에 +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두 개의 문자열을 붙여주는 기능을 한다.
>>> a = 'Hello'
>>> b = 'world'
>>> print(a + b)
Hello world
>>> print('Hello'+'world')
Helloworld
문자열 반복 ( * )
'문자열 * 숫자' 또는 '숫자 * 문자열' 형태로 사용한다. 문자열을 반복하는데 사용된다. 같은 문자열을 원하는 숫자만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 a = 'Hello world'
>>> print(a * 2)
Hello worldHello world
>>> print(2 * 'Hello world')
Hello worldHello world
>>> h_line = (20 * '-')
>>> print(h_line)
--------------------
>>> print('*' * 20)
********************
이어서 숫자 연산자에 대해 설명한다.
2. 숫자 연산자
종류 | 설명 |
+ | 덧셈 |
- | 뺄셈 |
* | 곱셈 |
/ | 나누기 (실수형) |
// | 나누기 몫 (나누기 정수형) |
% | 나누기 나머지 |
** | 제곱 |
사칙연산 ( +, - , * , / )
수학에서 사용하는 사칙연산과 동일하다. 숫자를 연산 할 때 사용하고 차례대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연산을 수행한다.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print (10 + 3)
15
>>> print (10 - 3)
7
>>> print (10 * 3)
30
>>> print (10 / 3)
3.3333333333333335
파이썬 연산자는 숫자를 변수에 저장해서도 사용 할 수 있다.
>>> a = 10
>>> b = 3
>>> print(a + b, a - b, a * b, a / b)
13 7 30 3.3333333333333335
나누기의 몫 ( // ) 연산자 , 나누기의 나머지 ( % ) 연산자
-
// : 나눗셈의 몫(정수 부분)을 출력한다.
-
% : 나눗셈의 나머지를 출력한다.
# 나누기 연산자와 비교
>>> print(10 / 3) # / 연산자
3.3333333333333335
>>> print(10 // 3) # // 연산자
3
>>> print(10 % 3) # % 연산자
1
제곱 ( ** )
제곱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제곱 할 숫자를 ** 기호 뒤에 써서 사용한다.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print (2 ** 2) #2의 2제곱
4
>>> print (2 ** 3) #2의 3제곱
8
>>> a = 10
>>> b = 5
>>> print(a ** b) # 10의 5제곱
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