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 배열 연산 비교 : list와 Numpy array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리스트(list)와 Numpy 1차원 배열 (array)의 연산에 대해 비교해본다. Numpy의 연산 기능을 이용하면 for문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참에 정리하면서 복습을 해보려고 한다. 혹시나 Numpy 배열 연산중 broadcasting과 ndarray를 찾는 분이 있으실까 봐 관련 내용은 없음을 먼저 밝힌다. - 순서 - 1. Numpy 2. ragne와 np.arrange 함수를 이용하여 list, array 생성 3. 리스트(list)와 numpy 배열(array) 연산 비교 4. 정리 1. Numpy Numpy는 Numerical Python의 줄임말로 파이썬의 산술 계산에 매우 유용한 ..
append( ), extend( ), insert( ) 함수 비교 세 개의 함수 모두 요소를 추가할 수 있는 함수이다. 그런데 추가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그 차이를 아래에서 비교 정리해본다. - 순서 - 1. append( ) 2. extend( ) 3. insert( ) 4. 세 개의 함수 비교 정리 1. append( ) array.append(x) 형태로 사용한다. append는 덧붙인다는 뜻으로 괄호( ) 안에 값을 입력하면 새로운 요소를 array 맨 끝에 객체로 추가한다. 요소를 추가할 때는 객체로 추가하게 되는데, 입력한 값이 리스트와 같은 반복 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이더라도 객체로 저장한다.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nums = [1, 2, 3] >>> nums.ap..
삼항 연산자 (삼항 표현식) if-else 조건식을 한 줄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코드를 줄이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조건식이 복잡한 경우에는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니 적절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항 표현식 문법의 사용 예시와 중첩 삼항 표현식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 순서 - 1. 삼항 표현식 문법 2. 중첩 삼항 표현식 3. 정리 1. 삼항 표현식 문법 true_value if condition else false_value condition의 Boolean 값을 기반으로 반환된다. if조건식의 condition값이 True이면 true_value를 반환하고 False이면 false_value를 반환한다. 위와 같은 식을 삼항표현식과 if - else 조건식으..
집합 자료형 Set 연산 set은 수학에서의 집합과 같다. 집합의 특성과 같이 순서가 없고 중복적인 요소를 허용하지 않는다. set type의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과 같은 수학 연산을 사용하는 것에 주로 이용되고 이외에도 요소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unique 한 값만 남기는 기능으로도 많이 활용된다. 이번 포스팅은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연산 기능에 대해 다룬다. 중복 제거와 관련해서는 필요하실 분을 위해 이전 포스팅 링크를 걸어둔다. ▶ set함수를 이용한 집합 자료형 생성, 변환 및 중복요소 제거 - 순서 - 1. 합집합 2. 교집합 3. 차집합 1. set 합집합 set의 합집합은 | 연산자와 union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파이썬의 합집합도 수학의 합집합 연산과 동일한 ..

아스키코드 변환 함수 ord( ), chr( ) - 순서 - 1. 아스키코드 설명 2. ord( ) 3. chr( ) 1. 아스키코드(ascii) 아스키는 미국 정보교환 표준 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줄여서는 ASCII라고 표현한다. 말 그대로 정보를 교환하는 부호인 것이다. 문자열이나 기호를 컴퓨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코드화, 부호화해야 하고 그런 과정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코드는 기호와 영문알파벳에 적합한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코드가 영문알파벳과 기호에 적합한 이유는 7비트 인코딩이기 때문이다. 7비트 인코딩으로 표현 가능한 것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로 그 범위 안에 할당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