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ython] math.ceil( ) / math.floor( )

 

수학의 올림/ 내림 기능을 하는 함수이다. math 모듈을 import 하고서 함수를 사용하면 실수를 올림/내림하여 정수를 반환한다.  사용방법은 두 함수 모두 동일하고 별다른 파라미터는 갖고 있지 않는다. 아래에서 두 함수의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 순서 -
1. math 모듈
2. ceil
3. floor

4. 정리

 


1. math 모듈

수학과 관련된 함수들을 모아놓은 모듈이다. ceil, floor 이외에도 사인, 코사인, 탄젠트와 같은 수학 공식을 계산해주는 함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듈의 함수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반환 값은 실수인 float 타입으로 반환된다.

 

모듈을 사용할 때는 import math 문장을 입력하여 모듈을 불러들여서 사용하면 된다. import구문은 보통 코드의 가장 위에 작성한다. 작성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math

 

2. math.ceil( )

ceil 함수는 실수를 입력하면 올림 하여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ceil은 천장을 의미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어떤 실수의 천장을 의미하는 바로 위 정수를 반환한다고 기억하면 좋다.

 

math.ceil 함수를 사용할 때는 math 모듈을 import 한 후 math.ceil(x) 형태로 사용한다. 괄호( ) 안의 수 x는 float타입의 실수를 입력한다. 정수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정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변화 없이 정수를 그대로 반환한다.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실수를 정수인 int 타입으로 반환한다. 예를 들어 괄호 안에 -3.14를 입력하면 올림 한 값 -3이 반환되고 5.5를 입력하면 올림 한 값 6이 반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 예시를 코드로 출력한 값을 보면 아래와 같다.

>>> math.ceil(3.14)
4

>>> math.ceil(-3.14)
-3

>>> math.ceil(0.15)
1

>>> math.ceil(-0.15)   
0

>>> math.ceil(3)  # 정수는 그대로 정수로 반환
3

>>> math.ceil(-3)
-3

 

3. math.floor( )

floor 함수는 실수를 입력하면내림하여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floor은 바닥을 의미한다. 실수의 바닥의 수인 바로 아래 정수로 내림한다고 생각하면 기억하기가 좋다.

 

함수를 사용 할 때는 math 모듈을 import 하고서 math.floor(x) 형태로 사용한다. 괄호( ) 안의 수 x는 float타입의 소수점이 있는 실수를 입력한다. ceil 함수와 마찬가지로 정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정수를 그대로 반환한다.

 

math.floor 함수를 사용하면 반환되는 값은 정수인 int타입이다. 실수를 내림하는 코드를 작성한 사용 예시는 아래와 같다.

>>> math.floor(3.14)
3

>>> math.floor(-3.14)
-4

>>> math.floor(0.15)
0

>>> math.floor(-0.15)
-1

>>> math.floor(3)  # 정수는 그대로 정수로 반환
3

>>> math.floor(-3)
3

 

4. 정리

1) 여러개의 수학 함수를 이용할 수 있는 math모듈을 import 한다. 

2) 실수를 올림 할 때는 math.ceil( ) 함수를 사용한다. ceil은 천장을 의미하며 실수의 바로 위 정수를 반환한다.

3) 실수를 내림 할 때는 math.floor( ) 함수를 사용한다. floor는 바닥을 의미하며 실수의 바로 아래 정수를 반환한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