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스키코드 변환 함수 ord( ), chr( ) - 순서 - 1. 아스키코드 설명 2. ord( ) 3. chr( ) 1. 아스키코드(ascii) 아스키는 미국 정보교환 표준 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줄여서는 ASCII라고 표현한다. 말 그대로 정보를 교환하는 부호인 것이다. 문자열이나 기호를 컴퓨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코드화, 부호화해야 하고 그런 과정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코드는 기호와 영문알파벳에 적합한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코드가 영문알파벳과 기호에 적합한 이유는 7비트 인코딩이기 때문이다. 7비트 인코딩으로 표현 가능한 것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로 그 범위 안에 할당된..
[Python] 백준 알고리즘 온라인 저지 11654 : 아스키코드 Python3 코드 print(ord(input())) Python3 코드 풀이 1. 문제에 대한 전체적인 코드 풀이 이번 문제는 알파벳을 입력받으면 그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반환하는 문제이다. 아스키코드 반환 함수는 ord 함수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아스키코드를 이해하고 있다면 상당히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2. 아스키코드 아스키는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를 의미한다.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약자로 ASCII로 표기할 수 있다. 아스키코드는 아스키라는 이름의 의미에서 나타내는 그대로 문자열이나 기호와 같은 정보를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부호로 교환을 하는 코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