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스키코드 변환 함수 ord( ), chr( ) - 순서 - 1. 아스키코드 설명 2. ord( ) 3. chr( ) 1. 아스키코드(ascii) 아스키는 미국 정보교환 표준 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이다. 줄여서는 ASCII라고 표현한다. 말 그대로 정보를 교환하는 부호인 것이다. 문자열이나 기호를 컴퓨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코드화, 부호화해야 하고 그런 과정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한다. 아스키코드는 기호와 영문알파벳에 적합한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코드가 영문알파벳과 기호에 적합한 이유는 7비트 인코딩이기 때문이다. 7비트 인코딩으로 표현 가능한 것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로 그 범위 안에 할당된..
[Python] math.ceil( ) / math.floor( ) 수학의 올림/ 내림 기능을 하는 함수이다. math 모듈을 import 하고서 함수를 사용하면 실수를 올림/내림하여 정수를 반환한다. 사용방법은 두 함수 모두 동일하고 별다른 파라미터는 갖고 있지 않는다. 아래에서 두 함수의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 순서 - 1. math 모듈 2. ceil 3. floor 4. 정리 1. math 모듈 수학과 관련된 함수들을 모아놓은 모듈이다. ceil, floor 이외에도 사인, 코사인, 탄젠트와 같은 수학 공식을 계산해주는 함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듈의 함수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반환 값은 실수인 float 타입으로 반환된다. 모듈을 사용할 때는 import math 문장을 입력하여 모듈을 ..
enumerate() - 순서 - 1. enumerate 함수의 사용 예시 - enumerate object로 출력 - list 함수로 튜플 출력 - for문을 이용해서 숫자와 요소 값을 각각의 변수에 저장 - dictionary 생성에 이용 2. parameter - start 1. enumerate 함수의 사용 enumerate (iterable, start=0) 형태로 사용한다. 괄호( ) 안에 반복 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을 입력하면 숫자와 각 요소가 순서대로 출력된다. 순서는 0부터 출력되기 때문에 요소의 인덱스로도 활용할 수 있다. 숫자를 0이 아닌 다른 숫자부터 시작하게 하려면 start=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1-1) enumerate object로 출력 enumerate 함수를 사용..
comprehension 반복 가능한 iterable 자료형을 생성할 때 사용한다. 여러 줄에 걸쳐서 만드는 for문이나 if조건문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한 줄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표현식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리스트를 생성할 때 자주 사용되고 리스트뿐만 아니라 set, dict 자료형도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 순서 - 1. list comprehension 1) for문을 한 줄로 표현 2) 두 개의 for문을 한 줄로 표 3) if조건문을 사용 4) if - else 조건문을 사용 2. set comprehension 3. dictionary comprehension 1. list comprehension 1-1) for문을 한줄로 표현 [ 출력 값 표현 for 요소 in ..
f-string format, %(서식 지정자)와 같은 문자열 포매팅 방법들 중 f-string이 가장 마지막에 업데이트되었다. 나의 경우, 파이썬 4개월 차여서 처음부터 f-string을 사용하다가 얼마 전에 format과 % 서식 지정자를 알아보았는데.. 번거로워서 어떻게 쓰나 싶다. 그만큼 f-string의 사용법이 간단하다. ※ 파이썬 버전에 따라 f-string을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3.6 버전 이후부터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 순서 - 1. f-string 사용법 2. 글자 수를 지정하여 문자열 정렬하기 3. 소수점 자릿수 지정하기 1. f-string 사용법 1) 문자열을 지정하는 따옴표 앞에 f를 접두사로 붙인다. 2) 문자열 안에서 중괄호{ }를 이용해 변수나 계산식을 입력할 ..